[Environment Setup] WSL2 설치하기

Date:     Updated:

카테고리:

태그:

🎯 WSL2 설치하기

Windows에서 Linux 계열의 OS를 쓸 수 있게 해주는 WSL2를 설치하는 방법을 정리한다.

1. 📦 WSL2 설치

명령어 하나로 간단히 설치해보자.

🌐 WSL2 설치 명령어

  • Google Chrome에 enable wsl2를 검색해보자.

Image

  • 바로 보이는 곳으로 접속하면 아래 명령어를 통해 설치할 것을 현재 권장하고 있다.
  • PowerShell을 열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자.
wsl --install

Image

  • Ubuntu까지 알아서 설치해준다.

Image

Image

  • 이제 PC를 재시작하여 추가 설치를 진행하자.
    • 생각보다 오래 걸리니 기다려주자.
  • 시작 페이지를 보면 Ubuntu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Image

Image

2. 🔑 Ubuntu 계정 만들기

WSL2는 Ubuntu 기반이기 때문에 Ubuntu 계정이 필요하다.

user name & password 설정

  • user name은 자기가 사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정하자.
  • 나는 noah로 설정했다.
  • password는 반드시 들어가야 한다. 입력하지 않으면 다음으로 넘어갈 수 없다.
    • 입력해도 화면에는 표시가 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, 입력되고 있는 것이니 계속 입력하자.

Image

Image

생성된 계정 및 WSL2 확인

  • 계정이 정상적으로 생성되면 아래 캡처처럼 나오게 된다.

Image

  • 아래 명령어로 WSL2가 잘 설치된 것도 확인할 수 있다.
wsl --list --verbose

Image

3. 🖥️ Terminal 설정

이제부터 Windows Terminal을 사용하여 WSL2를 사용할 것이다.

⚙ 터미널 설정

  • Windows Terminal을 열고 상단 메뉴에서 설정을 클릭한다.

Image

  • 다음과 같이 뜨는데 좌측 제일 아래 json 파일 열기를 하면 VSCode를 설치했다면 VSCode가 열린다.

Image

  • VSCode가 열리면 아래로 스크롤해서 "source": "CanonicalGroupLimited.Ubuntu_79rhkp1fndgsc" 위에 있는 name 부분을 WSL2로 변경해주자.

Image

  • 이제는 WSL2로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Image

  • 그리고 디폴트 터미널을 우분투로 해주기 위해 "defaultProfile":을 변경해주자. 아마 최초는 PowerShell의 guid가 있을텐데 WSL2의 guid로 변경해주면 된다.

Image

  • 이제 터미널을 열면 WSL2로 열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Image

Environment Setup 카테고리 내 다른 글 보러가기